책 '유니티 쉐이더 스타트업' 을 보고 공부했습니다.
이전 게시글 '쉐이더의 구조' 에서 Properties에 관한 내용입니다.
기초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방법에서 명령은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변수이름 ("유니티 Inspector 창에 적힐 메세지", 명령이름) = 초기값
변수이름
_은 외부에서 입력받았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쓰입니다. 필수는 아닙니다.
한글 x
띄어쓰기 x
숫자 시작 x
_ 이외의 특수 문자 x
예약어 x
명령의 종류
Unity Manual에도 나와있습니다. - https://docs.unity3d.com/Manual/SL-Properties.html
Range
최솟값과 최댓값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가 나옵니다.
_Name ("display name", Range(min, max)) = number
Float
한자리 소수점을 입력받습니다.
_Name ("display name", Float) = number
Color
Color에는 R,G,B,A 가 있기 때문에 float4로 받습니다.
_Name ("display name", Color) = (number, number, number, number)
Vector
flaot4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습니다.
_Name ("display name", Vector) = (number, number, number, number)
tex2D
2D 텍스쳐를 받습니다.
_Name ("display name", 2D) = "name" { options }
'기타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Effect] Hit 이펙트 (0) | 2018.12.10 |
---|---|
[Unity Effect] 나루토 스타일 이펙트 (0) | 2018.12.09 |
[Unity Shader] Surface Shader 구조 (0) | 2018.11.30 |
[Unity Shader] 유니티 쉐이더 언어 (0) | 2018.11.29 |
[Shader] 쉐이더(Shader)란?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