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은 되게 어려워보이고 그랬는데, 다뤄보니까 유니티랑 비슷하다.
게임엔진의 기본은 다 비슷한 것 같다.
무엇을 배웠나
1. DFS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로 생성
2. Seed 값에 따른 랜덤 데이터 생성
같은 Seed 값이면 같은 미로 맵이 나온다.
isAuto를 체크하면, Seed 값을 입력받지 않고 랜덤으로 받는다.
작업물
Seed 값을 UI로 입력받고, 미로를 생성하는 예제를 만들어보았다.
'기타 >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파생 데이터 캐시(DDC) 경로 바꾸기 (0) | 2021.03.04 |
---|---|
[Unreal BP] Seed 값에 따른 랜덤 값 만들기 (랜덤 스트림) (0) | 2021.02.10 |
[Unreal] 시네마틱 사용해보기 3 (시퀀스 레코더) (1) | 2021.02.09 |
[Unreal] 시네마틱 사용해보기 2 (용어, 카메라 무빙, 렌더링) (0) | 2021.02.09 |
[Unreal] 시네마틱 사용해보기 1 (생성, 단축키) (0)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