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게임 개발 관련 게시글을 올립니다.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공부하는 게 편해서 블로그에 글을 적고 있습니다.
· 기타/Unity
책 '유니티 쉐이더 스타트업' 을 보며 공부했습니다. Lambert 라이트 만들기 맨 처음 모델 쉐이더 만든 후, 기본 적용 커스텀라이트 함수를 제작일단은 단순히 색만 표시하게 만들었다. 조명과 노멀의 각도를 통해 음영을 표현했다. 노말맵 적용 텍스쳐를 입힌 후, _LightColor0.rgb(조명의 색상과 강도) 와 atten(빛의 감쇠 현상)을 사용해 완성 noambient 삭제noambient는 작업 과정 중간에 온전하고 순수한 색상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한 것. 작업이 끝난 후 삭제하기
· 기타/Unity
책을 받고, 천천히 읽다보니 설명이 너무 잘 되어있어서 따로 찾아보면서 공부할 것이 없었다.하루만에 260페이지 정도 읽었다. 그런데 269페이지에서부터!!!커스텀 라이팅에 쓰이는 벡터(Vector) 개념이 나오면서 내 머리가 고장났다. ㅜㅜ 나는 Unity를 하면서 Vector3은 3d에서 쓰는 x,y,z 고, Vector2는 2d에서 쓰는 x,y 로만 알고 있었고, 제대로 개념은 몰랐다. 책에 벡터의 기초 설명이 되어있긴 하지만, 그냥 EBS에서 벡터의 기초부터 기본연산까지 인터넷 강의를 들었다. ㅋㅋㅋ 수학은 생각보다 참 많은 곳에서 쓰이는 것 같다.
· 기타/Unity
매일 인터넷 서칭만 하면서 쉐이더를 조금씩 공부해왔는데, 중간중간 모르는 것이 많아서 많이 궁금했다. 서칭하면서 제일 많이 검색되었던 블로그가 대마왕님의 블로그였다.http://chulin28ho.tistory.com/ 이 때까지만 해도 평범한 블로그 운영자이신 줄 알았는데, 되게 유명하신 분이었다. 쉐이더를 조금이라도 공부한 사람이면 대마왕님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ㄷㄷ 쉐이더를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 이펙트 관련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며 쉐이더 책을 골라보았는데,압도적으로 '유니티 쉐이더 스타트업' 이 후보에 올랐다. 쉐이더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을 위해 쓰였다고 한다. 그런데, 저자가 대마왕님이셨다.블로그로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책의 저자라니.. 되게 신기했다. 어제 오후 5시 40분쯤에 온..
· 기타/Unity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_VG_if3saBw 유튜브를 둘러보다가 멋있어서 만들어보게 되었습니다. ㅇ 만들어 본 영상 뒷배경 색깔은 조금 빨간색입니다!! ㅇ 핵심 사항 구조 Tornado - 소용돌이 본체 TornadoMid - 소용돌이 밑에서 생성되는 작은 소용돌이 1 (풍부한 소용돌이를 위해서) TornadoLow - 작은 소용돌이 2 Particles - 주변에 날라다니는 작은 물체 TrailSmaller - 소용돌이 밑에서 피어나오는 연기 1 TrailBigger - 연기 2 핵심 사항 소용돌이가 움직이면, TrailSmaller 와 TrailBigger 이펙트가 남습니다.부모 파티클이 이동할 때, 자식 파티클이 같이 이동하지 않으려면 Simulation ..
유튜브 영상을 보고 정리했습니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_VG_if3saBw&t=48s 이 게시글에서 만들 텍스쳐입니다. 토네이도 같은 이펙트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소용돌이는 영어로 Swirl 입니다. ㅇ 만들어 보기 1. U를 눌려 도형(원) 도구를 선택해준 후, 설정을 패스로 바꿔줍니다. 2. 새 레이어를 만들고, alt 와 shift를 누르면서 원을 그려줍니다. 3. f5 를 누르면 브러시 설정 창이 뜨게 됩니다. 브러쉬 도구를 선택해야 활성화가 됩니다. 설정을 맞춰줍시다. 4. 설정을 하고 나서, 한번 그어봅시다. 이 정도가 나오면 적당합니다. 5. 브러쉬 설정을 하고 난 후, Pen 도구를 선택해줍니다.그리고 캔버스 아무데나 마우스 우클릭을 하게 되면..
· 기타/Unity
Shader에 대해 공부를 시작하지 않아서 감을 잡지 못했는데, 대마왕님의 게시글을 보니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초보의 시선에서 쉽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대마왕님은 그래픽 디자이너의 시선에서 설명해주십니다. 기초가 잡아지는 느낌?? 3ds Max의 플러그인 shaderFX를 이용해서 설명해줍니다.그러나 shaderFX는 3ds max 2012년 버전 이후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서, 2018년인 지금과 버전이 안 맞아서 실습은 해보지 못했습니다. 대마왕님의 게시글http://chulin28ho.tistory.com/1?category=455033
· 기타/Unity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wdQ_vZGMV0k&t=1s 유튜브에서 이펙트를 구경하면서, 눈에 띄어서 Galaxy Effect 를 따라만들어 보았습니다. ㅇ 만들어 본 영상 ㅇ 핵심 사항 구조 Galaxy - 중심을 도는 흰 물체들 Glow - 중심에서 빛나는 물체 핵심 사항 Galaxy 에서 중심을 도는 것을 구현할 때 Velocity over Lifetime 의 Orbital 옵션을 사용했습니다.
· 기타/Unity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yt0UdVntOQc&t=256s 유튜브 제목을 번역해보니 마법화살 만들기 튜토리얼이었습니다.마법이 날아갈 때 뒤에 남는 Trail 이 예쁜 것 같습니다. ㅇ 만들어 본 영상 ㅇ 핵심 사항 구조 MagicArrow - Create Empty로 생성한 오브젝트. 하나로 묶는 역할.ArrowEffect - 화살이 날라가는 이펙트를 하나로 묶는 역할.main - 에너지 이펙트.trail1 - 꼬리 이펙트.trail2 - 꼬리 이펙트. 색상이 다르다.Bomb - 아직 만들지는 않았지만, Arrow가 닿았을 때 터질 이펙트를 하나로 묶는 역할. (좀 있다 만들어야지!) 그냥 하고싶은 말저번에는 유니티 에디터에서 실행시키고 오캠으로 동영상 녹화를 했..
푸쿠이
민규야 개발하자